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

고양이의 희귀 유전 질환: 근긴장증(Myotonia Congenita)

by 건냥마미 2025. 1. 14.
반응형

고양이 긴근장증
고양이 근긴장증

 

근긴장증(Myotonia Congenita)은 고양이에서 드물게 발견되는 유전 질환으로, 근육이 긴장된 상태에서 이완되지 않는 증상을 보이는 질환입니다. 이는 근육 세포가 전기 신호를 비정상적으로 처리하여 발생합니다. 오늘은 이 희귀 질환의 원인, 증상,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긴장증의 주요 원인

  • 유전적 돌연변이:
    근긴장증은 CLCN1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며, 이 유전자는 근육 세포막의 염소 이온 채널 기능을 조절합니다.
    • 돌연변이가 있는 고양이들은 근육이 정상적으로 수축 후 이완되지 않아 경직 증상을 보입니다.
    • 주로 순종 고양이(특히 버만과 같은 특정 품종)에서 발병 확률이 높습니다.

근긴장증의 증상

  • 움직임의 이상:
    • 고양이가 걷거나 뛰는 동안 근육이 경직되어 부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보입니다.
    • 점프하거나 높은 곳에 올라갈 때 어려움을 겪습니다.
  • 느린 이완 반응:
    • 특정 자세에서 근육이 긴장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완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 예: 다리를 펴는 동작을 한 뒤에도 다리가 완전히 풀리지 않는 모습.
  • 강직성 떨림:
    • 근육이 떨리는 증상이 나타나며, 특히 추운 환경에서 더 두드러집니다.

진단 방법

  • 임상 관찰:
    고양이의 이상 행동과 움직임을 관찰하며, 특정 자세를 유지하는 동안 경직이 나타나는지를 확인합니다.
  • 근전도 검사(EMG):
    근육의 전기 신호를 측정하여 근육의 과도한 긴장을 확인합니다.
  • 유전자 검사:
    CLCN1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확인하여 질환을 확진합니다.

치료 및 관리

  • 약물 치료:
    근긴장증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근육 이완제항간질제를 처방할 수 있습니다.
    • 예: 메틸프레드니솔론 또는 페노바르비탈.
  • 환경 조절:
    • 추운 환경은 근육 경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따뜻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고양이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조용하고 안정된 생활 환경을 제공합니다.
  • 운동과 재활:
    • 적절한 운동은 근육 강화를 도울 수 있지만, 무리한 활동은 피해야 합니다.
    • 전문 재활 치료사가 고양이를 위한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질환을 가진 고양이의 생활 지원

근긴장증을 가진 고양이는 질환을 완전히 치료할 수는 없지만, 적절한 관리와 치료로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습니다.

  • 높은 곳에 올라가기 쉬운 경사로 설치: 고양이가 점프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부드러운 바닥재 사용: 넘어지거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럽지 않은 바닥재를 선택하세요.
  • 규칙적인 건강 체크: 정기적인 수의사 방문으로 상태를 모니터링하세요.

예방과 유전자 검사

근긴장증은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므로, 번식을 계획하는 경우 해당 유전자의 돌연변이 여부를 확인하는 유전자 검사를 권장합니다. 이를 통해 질환의 유전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근긴장증은 희귀하지만 관리와 치료를 통해 고양이가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고양이의 행동에 작은 이상이라도 발견된다면, 빠르게 수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세요.

 

반응형